Tudo vai dar certo
다 잘 될거야
브라질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말입니다.
Tudo vai dar certo
다 잘 될거야
브라질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말입니다.
Things will work out.
Everything's gonna be okay/alright.
다 잘 될거야.
담당 부서를 가르쳐 주세요 (0) | 2018.03.28 |
---|---|
영어회화 100일의 기적 - 2일차 (2) | 2018.03.27 |
영어회화 100일의 기적 - 1일차 (0) | 2018.03.25 |
Just give up. 포기해! (0) | 2018.01.08 |
figure out 해결하다, 알아내다 (0) | 2018.01.06 |
gradient 속성 (그라데이션)
http://colorzilla.com/gradient-editor/
위 사이트에서 그라데이션 할 때 원하는 색 코드를 만들 수 있다.
아직까지 모든 웹 브라우저에서 css3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
모든 웹 브라우저에서 그라데이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코드가 아래와 같이 짜여져서 나온다.
ex)
* Permalink - use to edit and share this gradient: http://colorzilla.com/gradient-editor/#1e5799+0,2989d8+50,207cca+51,7db9e8+100;Blue+Gloss+Default */
background: #1e5799; /* Old browsers */
background: -moz-linear-gradient(top, #1e5799 0%, #2989d8 50%, #207cca 51%, #7db9e8 100%); /* FF3.6-15 */
background: -webkit-linear-gradient(top, #1e5799 0%,#2989d8 50%,#207cca 51%,#7db9e8 100%); /* Chrome10-25,Safari5.1-6 */
background: linear-gradient(to bottom, #1e5799 0%,#2989d8 50%,#207cca 51%,#7db9e8 100%); /* W3C, IE10+, FF16+, Chrome26+, Opera12+, Safari7+ */
filter: progid:DXImageTransform.Microsoft.gradient( startColorstr='#1e5799', endColorstr='#7db9e8',GradientType=0 ); /* IE6-9 */
html 기초 강의 2 (0) | 2018.01.29 |
---|---|
html 기초 강의 1 (0) | 2018.01.29 |
css3 기초 (0) | 2018.01.08 |
css3 기초-문자선택자, 링크선택자, 부정선택자 (0) | 2018.01.07 |
css3 기초 - 반응선택자, 상태선택자, 구조선택자 (0) | 2018.01.07 |
1. 위시캣 (프리모아 보다 조금 더 사용자가 많고, 디자인 관련 외주도 있다.)
https://www.wishket.com
2. 프리모아 (웹 아웃소싱 전문)
http://www.freemoa.net
3. 크몽 (웹 전문은 아니고 전 분야에 걸쳐 아웃소싱 가능하다.)
https://kmong.com
sublimetext3 설치 및 한글 사용이 편리하도록 변경하기 (0) | 2018.03.07 |
---|---|
안드로이드 어플 디컴파일러 (0) | 2018.02.25 |
리눅스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 (0) | 2018.02.02 |
점프 투 파이썬 (0) | 2018.02.01 |
엑셀 - 빈 칸 앞에 있는 문자만 추출하기 (0) | 2018.01.26 |
That's no good. Just give up.
쓸데 없는 짓이야, 그냥 포기해.
Give it up.
포기해
The word "quit" isn’t in my vocabulary.
내 사전에 포기란 없다.
담당 부서를 가르쳐 주세요 (0) | 2018.03.28 |
---|---|
영어회화 100일의 기적 - 2일차 (2) | 2018.03.27 |
영어회화 100일의 기적 - 1일차 (0) | 2018.03.25 |
다 잘 될거야 (0) | 2018.01.09 |
figure out 해결하다, 알아내다 (0) | 2018.01.06 |
주석
<!-- -->
display 속성
화면에 어떻게 보이는지 설정한다.
(1)block
<div>. <p>, <li> 같이
블럭 쌓듯이 층층이 쌓는 것
(2)inline
<span> 같이
옆으로 붙여나가는 것
(3)inline-block
block의 속성 갖고 옆으로 붙여나간다.
옆으로 정렬 되면서 높이의 속성도 가짐.
(4)none
자리 포함 모든것이 화면에서 지워짐
visibility 속성
visibility:hidden
자리는 남고 화면에서만 지움
opacity 속성
투명도를 조절한다.
숫자가 작을수록 투명해진다.
opacity:0.7;
★margin과 padding 속성
margin:10px;
오리지널 사이즈는 그대로 있고 상하좌우 10px의 여백이 생김
padding:10px;
오리지널 사이즈에서 상하좌우 10px가 증가
margin:10px 5px;
상하 10, 좌우 5
margin:10px 5px 7px;
상 우 하 좌
왼쪽 값 없으므로 우측 값 재활용하여 7px 적용된다.
box-sizing속성
box-sizing:border-box;
오리지널 크기 안쪽으로 테두리 그려줌
테두리를 포함하여 크기 변화 없음
box-sizing:content-box;
오리지널 크기 바깥쪽으로 테두리 그려줌
테두리 때문에 크기 증가
border 속성
border:15px solid #색상;
실선
border-style: dashed;
점선
border-top:5px #색상;
위 테두리만 표시
border-radius:10px;
테두리 둥글게
background속성
(1)
background-image:50%;
이미지 1/4로 축소됨
(2)
background-repeat:no-repeat;
배경에 바둑판 배열을 안 하는 것
디폴트는 바둑판 배열이다.
(3)
background-attachment:fixed;
div의 사이즈 관계없이 브라우저 전체에 적용하는 것
div사이즈가 정해져 있다면 이미지는 짤린다.
font속성
font-family: '폰트이름', '폰트이름', '폰트이름';
첫번째 폰트로 하길 원하는데, 사용자가 폰트를 안 가지고 있으면 뒤에 폰트
그것도 없으면 그 뒤에 폰트, 다 없으면 디폴트 폰트로 보여진다.
font-style:italic;
italic normal;
글자 기울기
font-weight:bold;
600;
글자 굵게
line-height:50px;
행 간격(문장간 상하 간격)
line-height:(width값과 똑같은 값);
글자 세로 중앙 정렬됨
*text-align:center;
가로 중앙 정렬
position 속성
position: absolute;
절대값
좌상단에 붙어 나옴
position: absolute;
top:50px;
left:40px;
좌상단에서 띄어져서 나옴
position: fixed;
화면상에 브라우저에 따라가지 않고
스크롤로 욺직여도 위치 변화없음
position: static;
static이 디폴트 값이다
top, left 값 줘도 무의미 해진다.
position:relative;
top:100px; left 100px;
화면 좌상단에서부터 시작하지 않고
원래 있어야할 자리에서부터 시작
z-index:20;
z-index:10;
깊이 값 조정
숫자가 높을 수록 상단에 놓임
파워포인트의 위로 보내기 처럼
html 기초 강의 1 (0) | 2018.01.29 |
---|---|
css3 기초 - gradient 속성 (그라데이션) (0) | 2018.01.09 |
css3 기초-문자선택자, 링크선택자, 부정선택자 (0) | 2018.01.07 |
css3 기초 - 반응선택자, 상태선택자, 구조선택자 (0) | 2018.01.07 |
css기초 - 선택자와 태그 (0) | 2018.01.07 |
11.문자 선택자
특정 문자 또는 문자열을 선택하여 속성을 설정한다.
(1)첫 번째 글씨
#score::first-letter{
}
(2)첫 번째 라인
#score::first-line{
}
(3)드래그 했을 때의 설정
id="content"의 첫 번째 <p>만 선택하여 ::selection 속성 적용
ex)
#content p:first-child::selection{
background-color:yellow;
color:blue;
}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margin:0 auto;
여백을 뜻하고
디폴트는 margin 0 0 0 0; 이다.
상하는 0 값
좌우는 자동으로 반 값씩 갖기 때문에 가운데 정렬이 된다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border-bottom:1px;
테두리를 밑에만 준다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<p>는 16px이 기본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ex)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 />
<title></title>
<style>
#wrap {
width:800px;
margin:0 auto;
}
#header {
border-bottom:1px solid #ff6a00;
}
#history2:first-letter, #history1::first-letter {
font-size:2em;
}
#history2:first-line, #history1::first-line {
font-weight:bold;
color:#4cff00
}
#footer ul {
overflow:hidden;
border:2px solid #ff6a00;
}
#footer ul li {
list-style:none;
float:left;
padding:20px;
width:100px;
height:100px;
}
</style>
</head>
<body>
<div id="wrap">
<div id="header">
<h1>설립 개요</h1>
</div>
<div id="content">
<p>어쩌구1</p>
<p id="history2">
어쩌구저쩌구 tatata
</p>
<p id="history1">
어쩌구저쩌구 blah blah
</p>
</div>
<div id="footer">
<ul>
<li><img src="hash3.jpg" /></li>
<li><img src="hash4.jpg" /></li>
</ul>
</div>
</div>
</body>
</html>
12.링크 선택자
href되어 있는 문자를 선택하여 속성을 설정한다.
첨부된 링크주소를 '-' 뒤에 적어준다.
#content a::after{
content: '-' attr(href);
}
13.부정 선택자
선택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에 속성을 적용한다.
li 중 fa가 아닌 나머지에 적용된다.
li:not(.fa){
}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padding: 30px 35px;
위아래 간격 / 글자간 간격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css3 기초 - gradient 속성 (그라데이션) (0) | 2018.01.09 |
---|---|
css3 기초 (0) | 2018.01.08 |
css3 기초 - 반응선택자, 상태선택자, 구조선택자 (0) | 2018.01.07 |
css기초 - 선택자와 태그 (0) | 2018.01.07 |
html5 기초-태그와 레이아웃 (0) | 2018.01.07 |
8. 반응 선택자
마우스 반응에 따른 속성을 설정한다.
houver : 커서를 갖다댔을 때의 상태
ex)
ul {
foot=size : 30px
color:blue;
}
ul:houver{
color:red;
}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margin:30px;
상하좌우 30픽셀 여백 줌
margin: 5 5 3 3;
상하좌우 개별적으로 여백 주기
margin:0 auto;
가운데 정렬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font-size:3em;
글자 3배 커짐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9. 상태 선택자
상태에 따라서 css속성이 변화하는 설정을 준다.
input:focus : 글자 입력할 때의 상태
enabled : 글자 입력 한 후의 상태
disabled : 변경 불가능
padding : input하는 곳을 마우스로 눌렀을 때 깜박이는 커서와 input칸 과의 간격
ex)
input:focus {
padding: 15px;
}
input:enabled {
color:#색상번호;
}
input:disabled{
font-weight:bold;
}
<body>
<form>
비밀번호 : <input type="password" name="upw" value="1004" disabled="disabled"/>
</form>
</body>
10. 구조 선택자
구조에 따라 변화하는 설정을 준다.
ex)
(1)
li:nth-child(2n*1){
}
홀수 선택
(2)
li:nth-child(2n){
}
짝수 선택
(3)
li:first-child li:last-child{
}
처음과 끝 선택
(4)
li:first-of-type{
}
처음 선택
(5)
li:first-of-type{
}
끝 선택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list-style:none;
<ul>의 모양을 없앤다.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border-radius:10 10 0 0;
테두리를 둥글게 만든다.
좌상단 우상단 우하단 좌상단 값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<a> 태그 중 target="_blank"
(추가)
_blank : 새 창에 열기
_parent: 부모창에 열기
_self:자신의 창에 열기
_top:모든 프레임을 지우고 전체 화면에 열기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왼쪽 정렬
float:left;
값 없으면 재활용한다. 30 0 30 0 이 순서대로 적용
border-radius:30px 0;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ex)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 /">
<title></title>
<style>
#header, #content, #footer {
width:1000px;
margin:0 auto;
overflow:hidden;
}
#header .left_space, #content .left_space, #footer .left_space {
width:150px; height:150px;
float:left;
background-color:#808080;
border:1px solid #00ffff;
}
#header .center_space, #content .center_space, #footer .center_space {
width:694px; height:150px;
float:left;
background-color:#eaa4a4;
border:1px solid #000000;
}
#header .right_space, #content .right_space, #footer .right_space {
width:150px; height:150px;
float:right;
background-color:#ffd800;
border:1px solid #0094ff;
}
#header .left_space, #footer .right_space{
border-radius:30px 0;
}
#header .right_space, #footer .left_space{
border-radius:0 30px;
}
#content .left_space{
border-radius:0 30px 30px 0;
height:300px;
}
#content .right_space{
border-radius:30px 0 0 30px;
height:300px;
}
#header .center_space{
border-radius:0 0 30px 30px;
}
#content .center_space{
border-radius:30px;
height:300px;
}
#footer .center_space{
border-radius:30px 30px 0 0;
}
#content .center_space ul li{
list-style:none;
float:left;
padding:0 40px;
font-weight:bold;
font-size:20px;
}
#content .hiseoul{
clear:both;
padding:10px;
}
</style>
</head>
<body>
<div id="header">
<div class="left_space"></div>
<div class="center_space"></div>
<div class="right_space"></div>
</div>
<div id="content">
<div class="left_space"></div>
<div class="center_space">
<div>
<ul>
<li>info</li>
<li>gallery</li>
<li>talk</li>
<li>contact</li>
</ul>
</div>
<div class="hiseoul">
<h1>타이틀 : 하이서울</h1>
<p>내용 설명 어쩌구 저쩌구 블라블라 따따따</p>
</div>
</div>
<div class="right_space"></div>
</div>
<div id="footer">
<div class="left_space"></div>
<div class="center_space"></div>
<div class="right_space"></div>
</div>
</body>
</html>
css3 기초 - gradient 속성 (그라데이션) (0) | 2018.01.09 |
---|---|
css3 기초 (0) | 2018.01.08 |
css3 기초-문자선택자, 링크선택자, 부정선택자 (0) | 2018.01.07 |
css기초 - 선택자와 태그 (0) | 2018.01.07 |
html5 기초-태그와 레이아웃 (0) | 2018.01.07 |
<style></style>안에서 사용
<head>안에 적는다.
1. 선택자
특정 태그(html 구성요소)를 선택하여, 태그의 속성을 변경함
(1)배경색 넣기
div 선택자: 밑에 div태그를 선택함, 백그라운드 속성을 속성값(색상번호)로 변경시킴
ex)
<style>
div{
background-color:#색상번호; border:npx solid #색상번호; //테두리 5픽셀에 색상 추가
}
</style>
2. 태그 선택자
특정 태그를 선택하여 css 속성을 적용한다.
ex)
<style>
li{
color: #색상번호;
}
</style>
//리스트 속성만 변경하고 싶을 때
//font-weight:bold; 폰트 굵게
//<head> 제목 <body> 내용
//<body> 안에 <header><nav><section><footer> 존재
//태그선택자는 밑에 있는 내용으로 우선 적용됨
//{border: 1px dashed #색상번호;}
// 점선 생김!
3. *선택자
내용 전체 속성 변경
ex)
<style>
*{
color:#색상번호
}
</style>
//margin:0;
//pedding:0;
//위에 두개 적으면 문장 시작시점의 상하좌우간격 0이 됨?
//font-size:large; (small;도 있음)
//text-decoration:underline; 밑줄
4. id(#)와 class(.)
<div id="wrap">
wrap이라는 이름값을 줄 수 있음
id값에 선택자로 사용 가능
#wrap{} 불러서 속성 변경
<li class="menu1">menu1</li>
id와 내용은 같은데 이름만 class!
.menu1{} 로 부름
//text-align:center;
//중앙정렬
//width:500px;
//border 가로 500픽셀 값 가짐
//overflow:hidden;
//float 사용 전에 제일 상위 태그에 적용
//float: left;
//옆으로(왼쪽에) 붙어서 나오기, 레이아웃 잡을 때 사용
//clear:both;
//float속성 없애기!
//side_banner 이런식으로 이름 적기
//tag선택자와 함께 사용 가능
//ex) ul li.menu{}
5. 속성 선택자
ex)
<input type="text"/>
type이 속성
tsxt가 속성값임
input[type=text] {
color:organge;
width:200px;
}
//input의 type속성 중 text 속성값들만 변경
//input이 textfield인가 봄
img[src]{border: 5px solid green;}
//이것도 가능
input {
color:green;
}
//이것도 가능, textfield값이 변경되는 것임
6. 자식/후손 선택자
자식: 딸, 아들
(바로! 내 밑에만 선택!)
후손: 딸, 아들, 손녀, 손자
(내 밑 모든 것 선택)
위에서 배운건 후손 선택자임
//자식태그, 자식선택자
div > h1 {
color:yellow;
}
//바로 밑에 있는 것만 선택됨
7. 동위 선택자(+, ~)
태그의 동등한 위치를 판단하여 css속성을 설정한다.
ex)
h3~div{
}
//h3하고 div가 동등한 위치에 있으면 다 선택
h3+div{
}
//h3하고 바로 밑에 있는 div하나만 선택!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1) 상하 줄간격
line-height: 100px;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2) 글자 간 간격
letter-spacing: 50px;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css3 기초 - gradient 속성 (그라데이션) (0) | 2018.01.09 |
---|---|
css3 기초 (0) | 2018.01.08 |
css3 기초-문자선택자, 링크선택자, 부정선택자 (0) | 2018.01.07 |
css3 기초 - 반응선택자, 상태선택자, 구조선택자 (0) | 2018.01.07 |
html5 기초-태그와 레이아웃 (0) | 2018.01.07 |
<head> : 설정 관련 내용, meta태그, <title>, css설정
<body> : 정보 전달 내용
<header> : 홈페이지 이름, 회사 로고, 중요한 정보
<nav> : 메뉴
<section> : 정보
<footer> : 회사 정보
8. 레이아웃 태그
<div>: 블럭요소 (br태그 없이도 블럭 쌓듯이 정렬됨)
<span>: 라인요소 (한 칸 뛰고 옆으로 쭉쭉 정렬됨)
section : 영역 구분을 위한 용도
article : 실제 콘텐츠, 내용을 표현할 때 사용
address : 이메일 주소, 연락처 정보, 이텔릭 체로 표시됨
*우편물 주소는 p태그 사용
css3 기초 - gradient 속성 (그라데이션) (0) | 2018.01.09 |
---|---|
css3 기초 (0) | 2018.01.08 |
css3 기초-문자선택자, 링크선택자, 부정선택자 (0) | 2018.01.07 |
css3 기초 - 반응선택자, 상태선택자, 구조선택자 (0) | 2018.01.07 |
css기초 - 선택자와 태그 (0) | 2018.01.07 |